아카이브
- 05 / 08 Transaction과 Lock
- 22 / 07 SQL 튜닝 2장 - 튜닝 용어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
- 15 / 07 SQL 튜닝 1장 - MySQL과 MariaDB 개요
- 09 / 07 MVCC
- 01 / 05 Reactive Streams
- 30 / 04 Circuit Breaker Pattern
- 30 / 04 Circuit Breaker Pattern 적용
- 23 / 04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과 Rollback
- 06 / 02 ThreadLocal
- 05 / 02 스프링과 문제 해결 - 트랜잭션
- 02 / 02 JDBC
- 30 / 01 Spring에서 비동기처리
- 20 / 01 SSH 사용하여 git clone하기
- 20 / 01 제8장 - 경계
- 17 / 01 제7장 - 오류처리
- 16 / 01 제6장 - 객체와 자료구조
- 03 / 01 Map Interface
- 29 / 12 Trade Market - 인프라 구축
- 27 / 12 대칭키 vs 비대칭키
- 23 / 12 Dependency LookUp
- 22 / 12 내부클래스
- 22 / 12 깊은복사, 얕은 복사
- 07 / 12 JVM이란?
- 06 / 12 Service 계층 - File 테스트
- 05 / 12 Service 계층 - Static 클래스 테스트
- 04 / 12 InvalidDefinitionException 오류
- 03 / 12 Repository 계층 테스트
- 30 / 11 NAT, NAPT
- 28 / 11 IPv4와 IPv6
- 27 / 11 라우터와 라우팅
- 22 / 11 GSON, JSONObject, ObjectMapper
- 19 / 11 Trade Market - DB 설계
- 17 / 11 EntityManager
- 16 / 11 스프링 데이터 JPA와 Querydsl
- 16 / 11 순수 JPA와 Querydsl
- 15 / 11 중급 문법 - Part3
- 15 / 11 중급 문법 - Part2
- 15 / 11 중급 문법 - Part1
- 15 / 11 기본 문법 - Part2
- 15 / 11 기본 문법 - Part1
- 12 / 11 확장 기능
- 12 / 11 읽기 전용 쿼리의 성능 최적화
- 12 / 11 엔티티 구별
- 12 / 11 구현체 분석
- 11 / 11 쿼리 메소드 기능
- 10 / 11 API 개발 고급 - 실무 필수 최적화
- 09 / 11 JPA를 활용해서 기본적인 API 만들기
- 09 / 11 API 개발 고급 - 컬렉션 조회 최적화
- 09 / 11 API 개발 고급 - 지연로딩과 성능 최적화
- 08 / 11 변경감지와 병합
- 08 / 11 생성자 패턴
- 06 / 11 엔티티 설계시 주의사항
- 04 / 11 벌크 연산
- 04 / 11 Named 쿼리
- 01 / 11 Thread Management
- 31 / 10 Process Management
- 27 / 10 응용계층
- 22 / 10 JPA - 구동방식
- 19 / 10 JPQL 중급문법 - Fetch Join
- 16 / 10 DispatcherServlet
- 15 / 10 Servlet
- 11 / 10 Aop 사용 시 HttpServletRequest 접근하기
- 10 / 10 커멘드 패턴
- 05 / 10 정적클래스와 Bean
- 05 / 10 Value 어노테이션
- 04 / 10 쓰레드
- 02 / 10 싱글톤 패턴
- 29 / 09 영역 구하기
- 28 / 09 숨바꼭질
- 26 / 09 특정 거리의 도시 찾기
- 24 / 09 그림
- 23 / 09 팩토리 패턴
- 23 / 09 촌수 계산
- 22 / 09 그래프
- 22 / 09 트리의 부모 찾기
- 21 / 09 효율적인 해킹
- 20 / 09 안전 영역
- 19 / 09 연결 요소의 개수
- 18 / 09 유기농 배추
- 15 / 09 데코레이터 패턴
- 15 / 09 바이러스
- 14 / 09 옵져버 패턴
- 13 / 09 게임 맵 최단거리
- 12 / 09 미로탐색
- 11 / 09 조합
- 09 / 09 전략패턴
- 09 / 09 디자인패턴 소개
- 05 / 09 소수찾기
- 03 / 09 다리를 지나는 트럭
- 02 / 09 주식가격
- 01 / 09 기능개발
- 29 / 08 CentOS7에 Spring Boot 배포 환경 셋팅하기
- 28 / 08 메모리 구조
- 25 / 08 Oracle 문법 정리
- 21 / 08 하노이 탑 이동 순서
- 18 / 08 Redirect
- 16 / 08 타겟 넘버
- 13 / 08 프록시 서버
- 13 / 08 로드 밸런싱
- 12 / 08 빈 자동 등록
- 12 / 08 내장 톰캣
- 11 / 08 JPQL 중급문법 - 경로 표현식
- 10 / 08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
- 09 / 08 관심사의 분리(OCP, DIP 위배 해결)
- 08 / 08 생성자 주입을 써라
- 08 / 08 롬복과 최신 트랜드
- 06 / 08 JPQL 초급문법
- 05 / 08 객체지향 쿼리 언어 - 기본문법
- 02 / 08 위장
- 02 / 08 Iterator, ListIterator, Enumeration
- 01 / 08 쿠키와 세션
- 01 / 08 Spring boot와 Oracle 연동
- 01 / 08 JPA의 데이터 타입 분류
- 29 / 07 프록시와 연관관계
- 28 / 07 H-Index
- 27 / 07 고급 매핑
- 27 / 07 MappedSuperclass
- 26 / 07 객체 정렬
- 24 / 07 다양한 연관관계 매핑
- 23 / 07 정렬 알고리즘 직접 구현
- 23 / 07 k번째 수
- 22 / 07 같은 숫자는 싫어
- 21 / 07 최소직사각형
- 21 / 07 연관관계 매핑
- 20 / 07 완주하지 못한 선수
- 19 / 07 소수 만들기
- 18 / 07 영속성 관리 - 내부 동작 방식
- 18 / 07 엔티티 매핑
- 17 / 07 모의고사
- 17 / 07 JPA란?
- 16 / 07 포캣몬
- 14 / 07 단지번호 붙이기
- 13 / 07 음양더하기
- 13 / 07 Cors 정책
- 13 / 07 DFS와 BFS
- 12 / 07 크레인 인형 뽑기
- 10 / 07 2020 카카오 인턴십 - 키패드 누르기
- 10 / 07 싱글톤 컨테이너
- 09 / 07 백준 1920번(수 찾기)
- 07 / 07 2021 KAKAO BLIND RECRUITMENT - 신규 아이디 추가
- 05 / 07 SpringBatch란?
- 05 / 07 SpringBatch 구조
- 02 / 07 제2장 - 의미 있는 이름
- 02 / 07 제1장 - 깨끗한 코드
- 30 / 06 ThymeLeaf Validation
- 28 / 06 Swagger 설정
- 27 / 06 ThymeLeaf 스프링 통합
- 25 / 06 Indexing
- 24 / 06 Promise, async, await, Generator
- 20 / 06 카카오 로그인
- 19 / 06 테이블 조인 설정 변경으로 쿼리 튜닝
- 15 / 06 SQL에서 pivot 테이블 생성하기
- 13 / 06 자바스크립트 기본
- 08 / 06 PostgreSql 시간 다루기
- 07 / 06 Spring Security 3
- 04 / 06 Aspect
- 31 / 05 Stack
- 30 / 05 for each
- 29 / 05 빈 후처리기
- 28 / 05 포인트컷, 어드바이스, 어드바이저
- 27 / 05 Proxy Factory
- 26 / 05 Recursive
- 25 / 05 프록시, 프록시 패턴, 데코레이터 패턴
- 21 / 05 스프링 AOP 포인트컷
- 21 / 05 스프링 AOP 구현
- 21 / 05 스프링 AOP개념
- 19 / 05 Thread 구현
- 18 / 05 Exception 처리
- 17 / 05 Json에서 null값 처리하기
- 15 / 05 choose, when, otherwise
- 15 / 05 resultMap
- 12 / 05 Recursive
- 09 / 05 Compress
- 08 / 05 LogBack
- 08 / 05 BufferedStream
- 07 / 05 FileStream
- 06 / 05 백그라운드에서 스프링부트 서버 돌리기
- 05 / 05 Collector
- 03 / 05 Stream
- 02 / 05 Lock
- 01 / 05 데이터베이스 연결구조와 DB세션
- 30 / 04 Transactional
- 28 / 04 JOIN
- 27 / 04 SelectKey
- 25 / 04 스프링과 파일 업로드.
- 25 / 04 multipart/form-data
- 25 / 04 File Upload
- 23 / 04 ControllerAdvice
- 21 / 04 Exception Handler
- 17 / 04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
- 17 / 04 IoC, DI, 컨테이너
- 16 / 04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
- 16 / 04 스프링이란?
- 15 / 04 DAO, DTO, VO
- 09 / 04 CSR & SSR
- 08 / 04 문자열 - 단어의 개수
- 07 / 04 문자열 - 문자열 반복
- 07 / 04 문자열 - 단어 공부
- 07 / 04 Java 컬렉션 프레임워크
- 07 / 04 Java 배열
- 07 / 04 Java ArrayList
- 06 / 04 문자열 - 알파벳 찾기
- 06 / 04 문자열 - 아스키 코드
- 06 / 04 문자열 - 숫자의 합
- 31 / 03 Spring Security 3
- 29 / 03 Optional
- 28 / 03 Spring Security 2
- 27 / 03 Spring Security
- 26 / 03 Interceptor
- 26 / 03 ArgumentResolver
- 25 / 03 Filter
- 24 / 03 MariaDB 연동
- 23 / 03 Jwt Token
- 22 / 03 변수의 초기화
- 06 / 02 다형성(Polymorphism)
- 06 / 02 Getter & Setter
- 02 / 02 Interface
- 02 / 02 Inheritance
- 02 / 02 Java 제어자
- 01 / 02 Java 클래스
- 31 / 01 혼공자 정리
- 27 / 01 교착 상태
- 24 / 01 TemplateHTMLRenderer
- 21 / 01 html,css 기본 정리
- 20 / 01 Permissions
- 19 / 01 전송계층
- 16 / 01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
- 16 / 01 네트워크 계층
- 15 / 01 OSI 참조 모델
- 14 / 01 네트워크 용어 정리
- 14 / 01 Docker Compose
- 13 / 01 Docker 명령어 ADD, COPY
- 12 / 01 docker with [ Nginx + uWSGI + django ]
- 10 / 01 Dango + uWSGI + Nginx
- 07 / 01 웹서버
- 06 / 01 Django raw SQL queries
- 04 / 01 DRF 로그인(POST) & 회원정보(GET)
- 04 / 01 Redis
- 03 / 01 DRF에서 ModelSerializer란?
- 02 / 01 DRF에서 serializer란?
- 01 / 01 비밀번호 변경(PATCH요청)
- 30 / 12 Yet another Swagger generator
- 29 / 12 DRF 회원가입 구현
- 27 / 12 21.12.27 SQL 공부
- 27 / 12 Index
- 26 / 12 HTTP 구성(요청/응답)
- 22 / 12 Jason Web Token
- 21 / 12 Flask-bcrypyt
- 14 / 12 21.12.14 SQL 공부
- 08 / 12 Nginx
- 08 / 12 Event Driven Architecture
- 27 / 11 View Decorator
- 26 / 11 Media 파일 다루기
- 24 / 11 Authorization
- 23 / 11 View
- 22 / 11 Model
- 18 / 11 다양한 CNN 모델
- 17 / 11 이미지 증강
- 15 / 11 keras-함수형 API
- 15 / 11 CNN을 활용한 이미지 분류
- 14 / 11 합성곱 신경망의 구성 요소
- 13 / 11 인공신경망(ANN)
- 13 / 11 심층신경망(DNN)
- 13 / 11 심층신경망(규제 방법)
- 11 / 11 Serializer를 통한 유효성 검사 및 저장
- 11 / 11 Form & Serializer
- 10 / 11 Renderer
- 09 / 11 Operating System
- 09 / 11 OS의 역할
- 08 / 11 select_related & prefetch_related
- 07 / 11 ORM
- 07 / 11 Transaction
- 04 / 11 ViewSet & Router
- 04 / 11 Mixins 상속을 통한 APIView
- 02 / 11 APIView
- 01 / 11 JSON 직렬화
- 01 / 11 JSON 응답
- 29 / 10 OOP
- 27 / 10 Staic 파일의 처리
- 26 / 10 Decorator
- 26 / 10 MVT
- 26 / 10 Django's Design philosophies
- 26 / 10 Cloud Server
- 25 / 10 프로젝트 정리
- 25 / 10 PostgreSQL
- 24 / 10 XML vs JSON
- 24 / 10 DRF 구현
- 23 / 10 Django REST framework
- 21 / 10 REST 그리고 RESTful API
- 18 / 10 django + docker + Azure(SQL)배포
- 16 / 10 프로젝트 중간 회고2
- 15 / 10 프로젝트 중간 회고1